레이블이 이미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이미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9월 20일 금요일

구글 블로그(blogger) 본문 이미지 호버 효과 #1

블로거 본문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대면, 그림자가 생기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간단한 호버 효과의 몇가지 예입니다.

동적인 효과는 그림이나 글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우므로, 데모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데모 보기


본문 이미지 호버 효과 데모 1 적용 코드

 .post-body img {  
 border:0;  
 padding:0;  
 -moz-transition: all 1s;  
 -webkit-transition: all 1s;  
 -o-transition: all 1s;  
 -ms-transition: all 1s;  
 transition: all 1s;  
 }  
 .post-body img:hover {  
 box-shadow: 0px 0px 15px #000000;  
 border-radius: 50%;  
 }  


본문 이미지 호버 효과 데모 2 적용 코드

 .post-body img {  
 border:0;  
 padding:6px;  
 -moz-transition: all 1s;  
 -webkit-transition: all 1s;  
 -o-transition: all 1s;  
 -ms-transition: all 1s;  
 transition: all 1s;  
 }  
 .post-body img:hover {  
 box-shadow: 0px 0px 15px #000000;  
 }  


본문 이미지 호버 효과 데모 3 적용 코드

 .post-body img {  
 border:0;  
 padding:0;  
 border-top-right-radius:50%;  
 box-shadow: 0px 0px 15px #000000;  
 -moz-transition: all 1s;  
 -webkit-transition: all 1s;  
 -o-transition: all 1s;  
 -ms-transition: all 1s;  
 transition: all 1s;  
 }  
 .post-body img:hover {  
 border-radius:0;  
 }  


본문 이미지 호버 효과 데모 4 적용 코드

 .post-body img {  
 border:0;  
 padding:0;  
 border-radius:50%;  
 box-shadow: 0px 0px 15px #000000;  
 -moz-transition: all 1s;  
 -webkit-transition: all 1s;  
 -o-transition: all 1s;  
 -ms-transition: all 1s;  
 transition: all 1s;  
 }  
 .post-body img:hover {  
 border-radius:0;  
 }  


다른 CSS 스타일 설정과 마찬가지로, 코드 삽입 위치는 [대시보드 → 템플릿 → 맞춤설정 → 고급 → CSS추가], 또는 HTML 편집 모드에서

 ]]></b:skin>  

코드 바로 앞의 자리입니다.

그림1

! 코드 적용시 한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기존 템플릿에 적용되어 있는 본문 이미지의 스타일 설정입니다. 블로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는 '깔끔', '풍경', '세련', '무늬', '초현실', '여행' 템플릿의 경우, 템플릿에 따라서 패딩이나, 그림자 등 간단한 스타일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post-body img  

그런 경우, 위의 본문 이미지 스타일 설정 코드를 찾아서 패딩, 그림자 등 겹치는 부분이나 문제가 될 부분을 삭제하여야 합니다.

! 테스트용 블로그에서 백업한 템플릿으로 충분한 테스트를 마친 후 코드를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코드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글.
CSS border-radius 이해하기
CSS box-shadow 이해하기



2013년 9월 4일 수요일

구글 블로그(blogger) 이미지 업로드시 크기 조정하기


블로거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한 후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이미지를 '작게', '중간', '크게', 'X 라지', '원본 크기' 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다섯가지 설정 중 마음에 드는 크기가 없다면, HTML 모드에서 코드를 약간 수정해줌으로써 이미지를 원하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올린 후 글쓰기의 HTML 모드로 들어가면, 이미지는 다음과 같은 코드로 표시됩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이미지의 주소 중 's1600'이라는 부분입니다. 이 s1600은 이미지의 최대 너비(width)를 의미합니다(높이는 너비에 따라 자동 변경). 예를 들어, 너비가 500px인 이미지의 s주소를 's400'으로 입력해주면, 이미지는 400px로 자동 축소됩니다. 이 s주소는

  • 큰 이미지를 블로그에서 작게 표시할 때
  • 이미지의 크기를 '작게', '중간', '크게', 'X 라지', '원본 크기' 외에 자신이 원하는 크기로 지정하고자 할 때
  • 블로그의 이미지를 외부에 원하는 사이즈로 링크하고자 할 때

 특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원본 보다 작게 표시하려면 단순히 s를 줄이면 되지만, 이미지를 원본 보다 크게 표현하려면 <img> 태그에 width="***"를 추가적으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s주소는 또한, 포토샵이나 기타 이미지 편집기 등에서 제공하는 잘라내기(crop) 기능을 지원합니다. s주소로 이미지의 사이즈를 줄인후 옆에 '-c'라고 입력하면, 이미지는 해당 사이즈의 정사각형 이미지로 표현되면서 동시에 정사각형을 벗어난 부분은 버려지게 됩니다. 위의 이미지에 크롭핑 주소를 적용한 예를 직접 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TtpoSjTURvQomLPnJwYxoN37CHfA-h04Pn62GMAj6w6cdKon4CLFOJZT5bWOpUAgjUhLPGooT0enA_ZFlDn6b5d7SiHg5-_Vk_OFITGCi2ej-8XoN8STo-0oNJgRlR3xvHqXQQt7ojKE/s200-c/car.jpg

또, s주소에 '-d'라는 옵션을 추가하면 다운로드로 연결되는 주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d' 옵션이 추가된 주소를 한번 클릭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TtpoSjTURvQomLPnJwYxoN37CHfA-h04Pn62GMAj6w6cdKon4CLFOJZT5bWOpUAgjUhLPGooT0enA_ZFlDn6b5d7SiHg5-_Vk_OFITGCi2ej-8XoN8STo-0oNJgRlR3xvHqXQQt7ojKE/s1600-d/car.jpg

'-d' 옵션은 이미지 배포를 목적으로 하는 블로그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겠죠.


※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템플릿상에서 최대 크기를 제한하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의 최대 폭 제한하기



2013년 8월 15일 목요일

동적뷰 타이틀에 이미지 삽입하기 #2

그림1

지난번에 동적뷰 타이틀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가 두가지 방법을 알고 있다고 말씀을 드리면서, 첫번째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동적뷰 타이틀에 이미지 삽입하기 #1

오늘은 두번째 방법입니다. 첫번째 방법은 코드 수정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원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올릴 수는 없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원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올릴 수 있습니다.

2013년 8월 1일 목요일

블로거(blogger) 포스트 하단의 '최근 게시물', '홈', '이전 게시물' 을 이미지로 대체하기


그림1
블로거 포스트 하단에는 독자가 블로그의 글들을 둘러보는데 도움을 주는, '최근 게시물', '홈', '이전 게시물' 이란 네비게이션 링크가 존재합니다.

그림2
크롬에서 해당 요소를 우클릭하여 요소 검사를 해보면, 이 링크들은 페이저(pager)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는데요.

'최근 게시물', '홈', '이전 게시물' 링크를 각각
의 이미지로 대체해보겠습니다.

1. '최근 게시물'을 이미지로 대체

먼저, [대시보드 → 템플릿 → HTML 편집] 으로 들어간 후 아래의 코드를 찾아서

 <data:newerPageTitle/>  

다음의 코드로 '대체' 해 줍니다.

 <img src='이미지 주소' style='border: 0 none;vertical-align: middle;'/>  

그림3
코드 찾기는 코드 수정 창에서 'Ctrl+F' 로 찾을 수 있습니다. 코드를 찾으면 <그림3>의 모습처럼 보일텐데요.

그림4
<그림4>처럼, 코드를 '대체' 해 줍니다. 코드를 삽입할 때 자신이 삽입할 이미지의 주소를 입력해주어야겠죠. 제가 삽입할 이미지의 주소는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zoUPgtSZ2vInp7A7ghe-6h6FjHdmYVTaZD-vdzYZjWY6w4RaCfW1xIwFMW7fEJtSAMxXIZHyELwQmfMkZON6jNjoTOVt09YhZzUtzDCAtn5NvYjV11CYf0PW3I-LFxhJyCyEioBaQdqg/s1600/arrow-92-36.png  

이므로, 저는

 <img src='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zoUPgtSZ2vInp7A7ghe-6h6FjHdmYVTaZD-vdzYZjWY6w4RaCfW1xIwFMW7fEJtSAMxXIZHyELwQmfMkZON6jNjoTOVt09YhZzUtzDCAtn5NvYjV11CYf0PW3I-LFxhJyCyEioBaQdqg/s1600/arrow-92-36.png' style='border: 0 none;vertical-align: middle;'/>  

이렇게 입력을 해주었습니다.

2. '이전 게시물'을 이미지로 대체

그림5
'이전 게시물' 역시 마찬가지 방식입니다.

 <data:olderPageTitle/>  

위의 코드를 찾아서, 아래의 코드로 대체 해줍니다.

 <img src='이미지 주소' style='border: 0 none;vertical-align: middle;'/>  

3. '홈'을 이미지로 대체

그림6
'홈' 역시 같습니다.

 <data:homeMsg/>  

위의 코드를 찾아서, 아래의 코드로 대체 해줍니다.

 <img src='이미지 주소' style='border: 0 none;vertical-align: middle;'/>  

다만, '홈'을 대체할 때 한가지 주의하셔야할 점은

 <data:homeMsg/>  

이 코드를 검색하면, 두개의 결과물이 검색됩니다. 하나는 모바일 템플릿의 홈 버튼이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림7
수정을 모두 마치면 '템플릿 저장'을 눌러줍니다.

그림8
짠. 결과물이 나왔네요.


※ 코드 수정전에는 항시 템플릿을 백업 해두시고, 또 코드 수정에 자신이 없다면 테스트용 블로그를 하나 만드셔서 테스트를 해본 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2013년 7월 29일 월요일

블로거(blogger) 포스트 이미지 가장자리에 그림자 효과 주기

그림1

블로거에서 포스트에 이미지를 삽입하면, 템플릿에 따라서 그림1처럼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그림자로 경계선 효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동적뷰 같은 경우에는 이 기능이 기본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일반 템플릿에선 해당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의 태그는 이미지 그림자 효과를 삭제한 경우, 또는 그림자효과가 없는 템플릿에서 해당 효과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코드입니다.

 .post-body img {   
 padding: 1px;   
 background: transparent !important;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important;   
     
 -moz-box-shadow: 3px 3px 10px rgba(0, 0, 0, .8);   
 -webkit-box-shadow: 3px 3px 10px rgba(0, 0, 0, .8);  
 -ms-box-shadow: 3px 3px 10px rgba(0, 0, 0, .8);    
 box-shadow: 3px 3px 10px rgba(0, 0, 0, .8);   
 }   

코드 삽입 위치는 [대시보드→템플릿→맞춤설정→고급→CSS추가] 입니다.

그림자의 두께나 위치 등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글.

CSS box-shadow 이해하기
CSS에서의 색상 설정 - 그림자를 가능한 엷게 설정하려면 rgba 색상을 이용.


2013년 7월 19일 금요일

동적뷰 타이틀에 이미지 삽입하기 #1

동적뷰의 타이틀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것과 관련하여 제가 알고 있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일단, 이 글에서는 첫번째 방법에 대해서만 다룰 것입니다. 이 방법은 무난하고 따라하기 쉽고, 또 코드 수정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그림1

동적뷰에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이미지 삽입이 되지 않습니다. <그림1>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레이아웃의 머릿글 구성에서 이미지를 삽입해도 '블로그보기'를 하면, 이미지는 보이지 않고 여전히 텍스트로 된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이 타이틀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약간의 꼼수를 쓰는 것이 바로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타이틀 이미지처럼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그림2

타이틀의 높이(height)는 65px이라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저 위치에 정확히 높이 65px(또는 그 이하)의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그림3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그림3>의 이미지를 타이틀 자리에 삽입하겠습니다.

먼저, [대시보드→템플릿→맞춤설정] 으로 이동한 후 [배경]에 원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그림4

정렬은 <좌측상단>(중앙 정렬을 원할 경우 <중앙상단>), 배치는 <타일식 배치 안 함>으로 선택합니다. 

그림5
여기까지 마치고 나면, 블로그의 모습이 <그림5> 처럼 보일텐데요. 여기서 두가지 선택이 있습니다.

하나는,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의 폰트 색상을 투명으로 처리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을 아예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1.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의 폰트 색상을 투명으로 처리

그림6

[대시보드 → 템플릿 → 맞춤설정 → 고급] 에서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의 폰트 색상을 모두 투명(transparent)로 설정합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타이틀 이미지의 색상·배경이 흰색이 아닌 경우에는 페이지와 헤더의 색상을 자신의 이미지의 색상에 맞게 조절해줍니다.)

그림7

그러면, <그림7>과 같은 모습이 됩니다. 타이틀 자리에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삽입하였지만, 우리는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 항목을 아예 삭제한 것은 아니란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림8

즉, 투명처리된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 자리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거나 해당 자리를 드래그하면, 숨겨져 있던 '제목'과 '설명'이 독자(reader)에게 나타납니다. 

독자들이 블로그의 제목을 애써 드래그 해보는 일은 많지 않을 것이므로, 이 부분이 크게 문제되리라고 생각지는 않습니다. 신경이 쓰인다면, 드래그 방지 코드를 심어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2.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을 아예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

'블로그 제목'과 '블로그 설명'이 아예 표시되지 않도록 코드를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위로 돌아가서, <그림5>의 상태에서 [대시보드 → 템플릿 → 맞춤설정 → 고급 → CSS추가] 의 자리에 아래의 코드를 삽입해줍니다.

 .header-bar {  
 display: none !important;  
 }   

이 코드는 블로그의 '제목'과 '설명'이 아예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설정해주는 코드입니다. '제목'과 '설명'이 아예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드래그가 불가능해지지만, 대신 헤더의 클릭도 불가능해집니다.

※ 제 블로그의 우클릭, 드래그 방지를 해제하였습니다. 이제 코드를 편하게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